10월로 접어들며 다시 태풍 소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직접적인 태풍 영향은 없지만, 오늘은 서울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기상청은 제22호 할롱(Halong) 과 제23호 나크리(Nakri) 의 이동 경로를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습니다.
1. 태풍 할롱(Halong) 현황
구분 | 내용 |
현재 위치 |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먼 해상 |
중심 기압 | 약 994hPa |
이동 속도 | 시속 약 18km, 북서 방향 |
세력 | 강한 바람대를 동반한 중간 수준의 열대성 저기압 단계 |
예상 경로 | 일본 규슈 남부를 지나 동북동 방향(일본 남쪽 해상)으로 이동 전망 |
예보 요약 | 우리나라 직접 상륙 가능성 낮음, 남해안·동해안은 너울성 파도, 해상 강풍, 국지적 비구름대 가능성 있음 |
주의사항 | 해안 지역·선박 운항 시 간접 영향 주의 필요 |
2. 태풍 나크리(Nakri) 전망
구분 | 내용 |
현재 상태 | 서태평양 남쪽에서 발생한 열대저압부 |
향후 전망 | 태풍으로 발달 가능성 있으나 경로는 아직 불확실 |
예상 시기 | 10월 중순까지 태풍 활동 가능성 존재 |
변수 요인 |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 변화에 따라 이동 방향 달라질 수 있음 |
가능한 경로 | 동쪽(일본 방면) 또는 북쪽(우리나라 부근)으로 이동 가능성 |
3. 현재 특보 현황 (10월 10일 기준)
구분 | 내용 |
해상 특보 | 풍랑주의보 : 남해동부 바깥 먼바다, 제주도 남쪽 먼바다, 제주 남동쪽 안쪽 먼바다 등 발효 중 |
육상 특보 | 태풍·강풍 관련 특보 없음 |
종합 요약 | 육상은 안정적, 해상 중심으로 간접 영향 발생 가능성 있음 |
4. 현재 비 상황
오늘 오후부터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약한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기상청 단기예보 기준, 오후 시간대 강수확률은 80% 이상으로 간헐적인 비 또는 소나기 형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비의 강도는 약하지만 지역에 따라 순간적인 바람과 빗줄기가 다소 강해질 수 있습니다. 퇴근길에는 우산을 챙기고, 도로 미끄럼 사고나 차량 시야 확보에 주의하세요.
5. 지역별 시간대별 날씨 예보
5-1 서울·수도권
시간대 | 날싸 | 기온 | 특이사항 |
오전 | 흐림 / 약한 비 가능 |
17~20 ℃ | 수도권·강원 북부 중심으로 빗방울 가능 |
오후 | 흐림 → 가끔 구름 |
22~24 ℃ | 일부 지역 국지적 소나기 가능성 |
저녁~ 밤 |
흐림 또는 구름 많음 |
18~20 ℃ | 비 소강 상태, 대체로 안정 |
5-2 제주 지역
시간대 | 날씨 | 기온 | 바람 / 파고 |
오전 (9~12시) |
맑음 / 구름 많음 |
23~26 ℃ | 동풍 약 4~5 m/s, 파고 0.5~0.6 m |
오후 (12~15시) |
맑고 따뜻함 |
27~28 ℃ | 바람 다소 강, 체감 더움 |
저녁 이후 | 구름 많아짐 |
23~25 ℃ | 바람 약해짐, 파고 안정 |
6. 오늘의 특보 및 날씨 요약
- 육상: 태풍·강풍 특보 없음, 전국 대체로 흐리거나 맑음
- 해상: 남해·제주 해상 중심 풍랑주의보 발효 중
- 서울·수도권: 오전 비 가능, 오후엔 흐림
- 제주: 낮엔 맑고 따뜻, 오후부터 구름 많음
- 부산·남해안: 맑고 온화, 해상 바람 주의
연휴가 끝나고
연휴가 끝나고 가을 하늘이 잠시 흐려졌지만,
이번 태풍들은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전망입니다.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기상 변화에 대비해 안전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해상과 해안 지역은 간접 영향에 대비해 주의하시고,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는 비가 내리고 있으니
우산과 겉옷을 챙겨 따뜻하고 안전한 오후 보내세요.
※ 태풍 이름의 유래
할롱(Halong) —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하늘에서 내려온 용’을 뜻하며 하롱베이(Halong Bay)에서 유래했습니다.
나크리(Nakri) —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꽃(Flower)’을 의미합니다.
태풍 이름은 아시아 14개국이 순서대로 제안한 목록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각국의 언어와 문화가 담긴 이름들이 번갈아 쓰이고 있습니다.
※ 참고 링크
'기후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는 오는데 왜 강릉은 여전히 가뭄일까? 관광지의 여름, 달라진 풍경 (47) | 2025.09.01 |
---|---|
비가 왜 이렇게 많이 오지? – 폭우, 태풍, 그리고 기후변화 이야기 (36) | 2025.08.05 |
집중호우, 왜 이렇게 자주 오는 걸까? – 기후변화, 밤사이 폭우, 그리고 우리가 지켜야 할 행동요령까지 (58) | 2025.08.04 |
하루 한 잔 커피 대신, 북극곰을 위한 기부를 시작 했어요 (18) | 202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