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리의 일상41

지금이 딱! 새우의 계절 - 가을 제철 새우의 맛과 영양 1. 새우가 가장 맛있는 계절새우는 가을(9월~11월)에 가장 맛이 좋습니다.이 시기에는 살이 오르고 단맛이 깊어져 구이, 회, 전, 튀김 등 어떤 조리법에도 잘 어울립니다.국산 대하와 흰 다리새우가 대표적이며, 두 종류 모두 가을에 맛이 최고조에 이릅니다.구분특징제철대하국산, 껍질이 두껍고 식감이 단단함9~11월흰다리새우양식,살이 부드럽고 달콤함연중 가능(가을 풍미 최고)새꼬리새우작지만 감칠맛이 강함가을~초겨울 2. 제철 새우의 조리법 제철 새우는 조리법에 따라 식감과 풍미가 달라집니다.생새우는 단맛이, 구이는 고소함이, 전은 담백함이 살아납니다.조리법특징팁생새우 회탱글한 식감과 달콤한 풍미간장+와사비, 초장 듀오 추천새우 머리 소금구이바삭한 껍질과 진한 향중불에서 천천히 구워야 고소함 유지새우전담백하.. 2025. 10. 9.
한글날, 세종의 마음이 빚어낸 글자 - 훈민정음의 이야기 10월 9일은 한글날입니다. 조선 세종대왕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반포한 날을 기념하는 법정공휴일로,우리말의 아름다움과 독창성을 되새기는 뜻깊은 날이죠. 1. 한글날의 유래와 역사한글날은 처음엔 ‘가갸날’로 불렸습니다.1926년 조선어연구회(현 한글학회)가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훈민정음 반포 480돌’을 기념하여 제정한 것이 시작이었습니다. 그해 기념식은 조선어연구회와 조선일보가 공동 주최했죠 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면서 반포일이 정확히 세종 28년 9월 10일(양력 10월 9일)로 밝혀졌고, 그때부터 지금처럼 ‘한글날’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정부는 1945년 광복 이후 한글날을 국경일로 지정했고, 한때는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지만, 국민 여론과 문화적 의미가 재조명되며 20.. 2025. 10. 9.
한가위, 우리 민족의 큰 명절 추석은 음력 8월 15일, 가을의 한가운데에 자리한 우리 민족의 가장 큰 명절입니다.‘한가위’라는 순우리말은 ‘8월의 한가운데 큰 날’이라는 뜻을 지니며, 수확의 기쁨과 조상에 대한 감사가 어우러진 특별한 날로 이어져 왔습니다. 2025년 추석 한가위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우리 민족의 큰명절인 한가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1️⃣ 한가위의 의미 추석은 단순히 가족이 모여 음식을 나누는 날이 아니라,농경 사회에서 수확의 풍요를 감사하고 조상을 기리는 깊은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구분내용명칭한가위(추석, 음력 8월 15일)뜻‘8월 한가운데 큰 날’이라는 의미성격수확제(풍요 기원) + 차례(조상 감사) 2️⃣ 기원과 역사 추석은 고대 수확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신라 시대에는 ‘가배(嘉俳)’라 불리며,.. 2025. 9. 28.
추석 송편에 담긴 전통 의미와 오색 송편 이야기 추석을 대표하는 음식, 송편(松餠). 쫄깃한 식감과 은은한 솔잎 향, 그리고 속까지 알찬 고소한 맛이 매력적인 떡입니다. 하지만 송편은 단순한 명절 음식이 아니라, 수확의 감사와 가족의 화합, 그리고 전통적인 상징을 담고 있습니다. 햇곡식으로 빚는 송편 추석은 한 해 농사를 마무리하며 수확에 감사하는 명절입니다. 그래서 송편은 반드시 그 해 새로 거둔 햇곡식으로 빚었습니다. 햅쌀로 반죽해 떡을 만들고, 그 안에 콩·깨·밤·팥 등을 넣어 찌며 풍년과 가정의 풍요를 기원했습니다. 농경 사회에서 햇곡식은 단순한 곡물이 아니라 새로운 한 해의 출발과 조상에 대한 감사를 상징했습니다.송편은 그 마음을 담아 빚어낸 특별한 음식이었던 것이지요. 솔잎을 깔고 찌는 이유 송편을 찔 때는 꼭 솔잎을 깔아 향을 더했습니다.. 2025. 9. 25.
1인 세대 1천만 시대, 무엇이 달라지고 있을까? 2025년, 우리 사회는 중요한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전체 가구의 42%가 1인 세대로 집계되며, 이제는 ‘나 홀로 세대’가 특별한 현상이 아니라 보편적인 삶의 방식이 됐는데요. 단순히 숫자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활과 사회 구조가 크게 바뀌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1. 1인 세대 1천만 돌파 – 숫자로 보는 변화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5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세대수는 2,411만 8,928가구로 집계되었습니다. 그중 1인 세대는 1,012만여 세대, 전체 가구의 42%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1천만 세대를 넘어섰습니다. 1-1 세대 구조 변화 (2020 → 2024)구분2020년2024년변화1인 세대약 900만1,012만증가 (+112만)2인 세대540만601만증가 .. 2025. 9. 24.
2025년 추석 장바구니 물가 총정리 추석이 다가오면 가장 먼저 신경 쓰이는 것이 바로 장바구니 물가입니다.올해는 공급 확대와 정부 대책에도 불구하고 품목별 희비가 엇갈리고 있는데요.과일, 한우, 수산물, 그리고 정부 대책까지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 경기가 좋지 않은데다 물가까지 오르니 걱정스럽습니다. 1. 과일 – 사과·배는 여전히 부담, 포도는 가격 하락품목가격 (2025년 9월)전년대비 변동사과 (10개)약 3만 원 후반대▼ -15%배 (10개)약 3만 원 초반대▼ -10% 이상샤인머스캣 (2kg)8,338원▼ -26.9%캠벨얼리 (3kg)13,491원▼ -18.6%거봉 (2kg)15,514원▼ -3.0% ▶ 포도 가격이 크게 내려갔지만, 사과·배는 여전히 부담스럽습니다. 2. 한우·돼지고기 – 명절 수요.. 2025.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