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이 다가오면 가장 먼저 신경 쓰이는 것이 바로 장바구니 물가입니다.
올해는 공급 확대와 정부 대책에도 불구하고 품목별 희비가 엇갈리고 있는데요.
과일, 한우, 수산물, 그리고 정부 대책까지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 경기가 좋지 않은데다 물가까지 오르니 걱정스럽습니다.
1. 과일 – 사과·배는 여전히 부담, 포도는 가격 하락
품목 | 가격 (2025년 9월) | 전년대비 변동 |
사과 (10개) | 약 3만 원 후반대 | ▼ -15% |
배 (10개) | 약 3만 원 초반대 | ▼ -10% 이상 |
샤인머스캣 (2kg) | 8,338원 | ▼ -26.9% |
캠벨얼리 (3kg) | 13,491원 | ▼ -18.6% |
거봉 (2kg) | 15,514원 | ▼ -3.0% |
▶ 포도 가격이 크게 내려갔지만, 사과·배는 여전히 부담스럽습니다.
2. 한우·돼지고기 – 명절 수요로 강세
품목 | 가격 (2025년 9월) | 전년 대비 변동 |
한우 등심 (1등급) |
1kg 약 72,000원 (100g 12,000원대) |
▲ 상승 |
한우 양지 | 100g 6,134원 | ▲ +7% |
돼지고기 삼겹살·목살 |
100g 2,500~2,800원 | ▲ +5% |
앞다리·뒷다리 | 안정세 | - |
▶ 축산물은 전반적으로 강세, 특히 한우 선물세트 가격이 부담을 키우고 있습니다.
3. 수산물 – 갈치·조기 강세, 냉동품목은 할인
품목 | 가격 (2025년 9월) | 전년 대비 변동 |
갈치 | 1마리 18,000~20,000원 |
▲ 강세 |
조기 | 10마리 약 40,000원 | ▲ 상승 |
고등어 | 1마리 4,000~5,000원 | ▲ 강세 |
냉동 참조기· 명태 |
할인 예정 | 정부 비축 물량 투입 |
▶ 신선 수산물은 강세지만, 냉동 참조기·명태 등 정부 비축 물량이 투입되면 일부 가격 안정이 기대됩니다.
4. 정부 대책과 할인 정책
정책 | 내용 | 기대 효과 |
성수품 공급 |
역대 최대 17만2천톤 투입 |
물가 안정 기반 마련 |
소비쿠폰 | 9월 22일 2차 투입, 시장·마트 사용 |
장바구니 부담 완화 |
할인 행사 |
마트·온라인몰 최대 20~50% 할인 |
선물세트·성수품 가격 안정 |
상품권 지원 |
온누리·지역상품권 확대 | 전통시장 활성화 |
특별 기획전 |
한우·과일·수산물 집중 | 가격 급등 억제 |
▶ 올해는 공급 물량과 할인 폭이 역대급이라, 실제 체감 물가 완화 효과가 예년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 참고 안내
본 글의 가격 정보는 2025년 9월 기준 서울 가락시장 도매가격 및 농식품부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한 것으로, 일일 변동이 있으니 참고용으로 보시면 됩니다.
◈ 요약정리
● 과일은 전반적으로 하락세, 특히 포도 가격 급락
● 사과·배는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
● 한우·수산물은 강세, 장바구니 부담 요인
● 정부의 대규모 공급 + 최대 50% 할인 정책이 체감 물가를 완화할 전망
'일상[맛집과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단풍놀이 언제갈까? 국내 단풍 절정 시기 (16) | 2025.09.21 |
---|---|
블루리본 서베이 선정 카페와 식당, 나의 방문기 (28) | 2025.09.10 |
창문 열고 잠들던 시절 vs. 열대야와 에어컨이 필수인 요즘 (35) | 2025.08.19 |
단호박 스무디로 바꾼 나의 아침 루틴 (79) | 2025.08.18 |
입추인데 왜 이렇게 더울까요? – 여름이 길어진 이유 (39) | 2025.08.07 |